총 1/312
부경대 도서관 2022년 대출 순위 1위 ‘아몬드’- 소설·과학서·자기계발서 등 순위권에 부경대학교 도서관(관장 김철수)의 2022년 최다 대출 도서는 <아몬드>(손원평 저)였다.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한 소년의 특별한 성장 이야기를 담은 이 소설은 2017년 출간 이후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베스트셀러다. 제10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아몬드>에 이어 소설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미예 저)이 부경대생들이 지난해 가장 많이 빌린 책 2위에 올랐다. 이 책은 연세대 도서관에서도 대출 순위 1위였다. 3위는 드라마로도 제작돼 큰 인기를 끈 바 있는 소설 <파친코>(이민진 저), 4위는 <달러구트 꿈 백화점2>, 5위는 베스트셀러 SF소설 <지구에서 한아뿐>(정세랑)으로 나타났다. 이어 6위는 SF소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김초엽 저)이었다. 이 책은 지난해 국립중앙도서관이 공공도서관 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20대가 가장 많이 대출한 책이었다. 7위에는 소설 <불편한 편의점>(김호연)이 올랐다. 과학도서도 많이 읽혔다. 환경 분야 과학도서의 고전으로 불리는 <침묵의 봄>(레이첼 카슨 저)이 8위에 올랐다. 1962년 출간된 이 책은 살충제의 생태 영향에 관한 연구결과를 집대성해 세계인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등 큰 영향을 미쳤다. 9위는 ‘방송계의 퓰리처상’으로 불리는 피버디상(Peabody Awards)을 수상한 과학전문기자 룰루 밀러가 지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였고, 10위에는 3년 연속 베스트셀러에 오른 자기계발서 <타이탄의 도구들>(팀 페리스 저)이었다. 한편 부경대 도서관은 단행본을 비롯해 전자책, 학위논문, 비도서 등 138만 8천 권에 이르는 장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중앙도서관이 있는 학술정보관은 학생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증축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31)조회수 163겨울방학에 이웃 집수리하는 대학생들 “함께 추위 이겨내요!”- 부경대 PKNU 사회공헌봉사단, 주거환경개선 봉사활동 펼쳐△부경대 PKNU 사회공헌봉사단 학생들이 주거환경개선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 PKNU 사회공헌봉사단(대표 김대한·기계설계공학전공 4학년)이 1월 30일, 31일 양일간 부산 남구청, 남구자원봉사센터와 함께 남구의 장애인 가구 1곳에서 집수리 봉사활동에 나섰다. PKNU 사회공헌봉사단은 2006년부터 방학이나 주말을 이용해 대학 인근 100여 곳의 주거환경 개선 봉사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올해도 겨울방학을 맞은 봉사단 학생 40여 명이 이번 집수리 봉사활동에 참가했다. 이들은 내부 집기를 모두 옮긴 뒤 얼룩지고 곰팡이가 핀 벽지를 걷어내 도배를 새로 하고 장판을 교체했다. 낡은 가스레인지와 후드를 철거해 새로운 제품을 설치하고, 겨울을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낡은 알루미늄 창문을 이중창으로 교체했다. 문고리가 고장 난 현관문도 수리하고, 화장실 페인트칠과 단열재 설치 등 시설도 보수했다. 전기 등 전문성이 필요한 작업은 부경대 시설과 직원들이 동참했고, 부산 남구청과 남구자원봉사센터는 주거 취약 가구 추천을 비롯해 쓰레기봉투 및 폐기물 수거 등을 지원했다. 봉사단 대표 김대한 학생은 “추운 겨울이 힘든 이웃을 생각해 모두 함께 힘을 내서 봉사활동을 했다. 우리 이웃이 추위와 어려움을 이겨내는 데 이번 활동이 작은 힘이 되기를 바라고, 앞으로도 PKNU 사회공헌봉사단은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하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30)조회수 141부경대, 종합청렴도 평가 최고등급 ‘1등급’ 받아- 국민권익위 2022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가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가장 높은 1등급을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국공립대학을 비롯해 국내 행정기관, 공직유관단체, 공공의료기관 총 569곳을 대상으로 종합청렴도를 조사하고 1월 26일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에서 전국 33개 국공립대학 중에서는 부경대를 비롯해 UNIST, 충북대, 한국교통대 등 4곳이 1등급을 받았다. 부경대의 종합청렴도 점수는 83.5점으로 국공립대 평균 점수(75.2)보다 8.3점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부패 취약 분야 개선 노력 항목 점수가 85점으로 국공립대 평균(74.5)보다 10.5점이 높았고, 반부패?청렴 교육 실효성 제고 항목은 100점을 받아 국공립대 평균(72.2)보다 무려 27.8점 높게 나타나는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평균을 상회했다. 계약 항목 점수는 97.9점으로 국공립대 평균(95.2)보다 2.7점 높았고, 연구 및 행정 항목은 76.5점으로 국공립대 평균(72.6)보다 3.9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경대는 지난 2020년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2등급을 받은 데 이어 이번에도 우수한 평가를 받으면서 청렴 문화와 청렴 의지를 확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평가는 공직자·국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인 ‘청렴체감도’와 기관의 반부패 노력을 평가한 ‘청렴노력도’를 합산한 뒤 기관 부패사건 발생 현황인 ‘부패실태’ 평가를 감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26)조회수 215부경대·부산경제진흥원, 부산 대학생 통상지원단 함께 키운다- ‘지역사회맞춤형 청년무역전문가’ 제2기 발대식 열어△ 지역사회맞춤형 청년무역전문가 양성사업(YTP) 제2기 발대식 현장.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지난 1월 16일 인문사회·경영관 강의실에서 지역사회맞춤형 청년무역전문가 양성사업(YTP) 제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이 사업은 부경대 국제통상학부(학부장 배준영)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하나로 부산경제진흥원과 함께 부산광역시 대학생 통상지원단으로 활약할 청년무역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시작한 사업이다. YTP 제2기로 선발된 부경대 국제통상학부 학생 25명은 이날 발대식을 시작으로 올 한 해 동안 무역박람회 참가, 해외 수출 마케팅 실무 교육 등을 통해 부산 대학생 통상지원단 활동에 나선다. YTP 제1기는 지난해 7월 출범해 부산지역 기업, 지자체, 대학 간 상생 플랫폼 구축을 위한 활동을 펼친 바 있다. 부경대 국제통상학부는 안태건 교수, 이동주 교수, 유정호 교수 등 전문가들이 YTP 제2기를 지원하는 한편, 부산경제진흥원 수출원스톱센터가 모집한 부산지역 기업 대상 통상 지원, 해외박람회와 같은 국제교류활동 등 YTP 활동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19)조회수 295한국전쟁 美 참전용사들 은혜 갚으러 간 한국 청년들- 부경대 평화봉사단 ‘UN서포터즈’ … 미국에서 보훈행사 개최△ 부경UN서포터즈 학생들이 한국전쟁 미국 참전용사들과 기념촬영하고 있다. “청춘 바쳐 한국 평화 지켜준 은혜, 저희가 잊지 않겠습니다.” 한국 청년들이 한국전쟁 당시 UN군으로 참전해 청춘을 바쳐 평화를 지켜낸 참전용사들을 직접 찾아 감사를 전했다.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의 학생평화봉사단 부경UN서포터즈(대표학생 황민혜)는 1월 13일 오후(현지 시각) 미국 메릴랜드주 하워드 카운티 자치주청사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보훈행사를 열었다. 부경UN서포터즈는 미주한인회와 세계한인재단이 개최한 한인 이주 120주년 기념행사에 참여해 이번 보훈 행사를 열고, 한국 청년들이 민간 외교사절로서 활약하여 한미 우호 증진에 이바지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부경UN서포터즈는 국내외에 생존해 있는 한국전쟁 참전용사들과 그 가족을 직접 찾아 감사를 전하는 부경대만의 독특한 봉사단이다. 2009년 1기 이후 15년째 대학 인근에 있는 세계 유일의 UN기념공원을 찾아 헌화 참배하는 것을 비롯,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발굴 참여와 727 정전협정 홍보 등 UN 관련 행사를 지원해왔다. 부경UN서포터즈 학생 12명은 이날 행사에 한국전쟁 미국 참전용사를 초청해 미리 준비해간 감사패와 선물을 전달하고, 한복을 입고 공연을 여는 등 행사를 진행했다. 부경UN서포터즈 황민혜 학생은 “우리와 같은 나이에 머나먼 타국에서 평화를 위해 싸운 참전용사들을 직접 뵙고 나니 정말 존경스럽고 감격스럽다. 참전용사와 유가족들의 용기와 희생을 잊지 않고, 앞으로도 보은 봉사활동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참전용사 짐 피셔 씨(95세)는 “청춘을 바쳐 지켜낸 한국에서 청년들이 직접 찾아와 고맙다고 말해주니 가슴이 벅차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부경UN서포터즈는 이날 보훈행사 이후 지미 고메즈 미국 연방 하원의원을 만나 부경대의 UN서포터즈 활동을 소개하고 미국 의회에서의 지지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알링턴 국립묘지를 방문해 한국전쟁 참전 무명의 미국 용사들에게 참배하는 등 보훈활동을 펼쳤다. 이들은 이어 1월 16일(현지 시각)에는 뉴욕에 거주하는 살바토레 스칼레이트 씨(93세) 등 참전용사의 자택을 방문해 UN군 참전으로 한국의 자유를 수호한 데 대해 감사함을 직접 표했다. <부경투데이> △ 참전용사 초청 보훈행사를 펼치고 있는 부경대생들. Korean youths expressed their gratitude to American veter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the UN supporters, PKNU student peace volunteer group held VA event in the U.S. “We will never forget the grace of keeping Korea’s peace by sacrificing your precious youth.” Korean youths personally visited and expressed their gratitude to the veterans who fought as part of the UN forces during the Korean war and devoted their youth to keep peace. On the afternoon of January 13 (local time), the Pukyong UN supporters (representative Hwang Min-Hye), a student peace volunteer group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held a veteran event for Korean war veterans at the Howard County autonomous district office in Maryland, U.S.A. Pukyong UN supporters participated in the 120th anniversary event (Korean American day) of Korean immigrants held by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U.S.A., and the World Korean Foundation, held this veteran event, and expressed their determination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y serving as citizen diplomatic missions. Pukyong UN supporters is a unique volunteer group only exists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that personally visits and expresses gratitude to the last living veterans of the Korean war and their families at home and abroad. Since the first foundation in 2009, it has been supporting UN-related affairs for 15 years, including visiting the world's only UN memorial park near the campus to pay tribute to war veterans, participating in the excavation of Korean War dead remains, and promoting Armistice Day, July 27. Twelve students from the Pukyong UN supporters invited American veteran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ar to the event, delivered appreciation plaques and gifts prepared in advance, and held a performance wearing hanbok. Hwang Min-Hye, a member from the UN supporters said, “It was a very respectful and an overwhelming moment for me to meet veterans who fought for peace in a faraway country at the same age as us. We will not forget the courage and sacrifice of the veterans and the war bereaved families, and we will continue to do our best in volunteer activities to show our gratitude to them.” Mr. Jim Fisher (age 95), a veteran who participated in the event, said, “I feel overwhelmed because students came from Korea where I devoted my youth to keep peace, to see me personally and said thank you for what I have done.” On the same day after the veterans event, Pukyong UN supporters met Mr. Jimmy Gomez, a member of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to introduce the UN supporters activities and ask for support from the U.S. congress. Along with this, they visited Arlington national cemetery and paid tribute to the unknown American soldiers who fought for the Korean war. On January 16 (local time), they visited the homes of veterans including Mr. Salvatore Scarlato (age 93) living in New York and directly expressed their gratitude for defending Korea's freedom through his participation in the UN forces.
부경대, 캠퍼스 아시아 한·일·중 확장사업 평가 ‘최고등급’- 2022학년도 연차평가 결과 ‘종합 A’△ CAMPUS-Asia 한·일·중 확장사업 AFIMA사업단 현장실습교육 장면.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최근 2022학년도 캠퍼스 아시아 한·일·중 확장사업 연차평가 결과 최고등급인 ‘종합 A’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한국, 일본, 중국 3개국 대학 간 공동·복수학위 활성화로 상호이해 증진과 대학 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대표적인 고등교육 분야 학생 교류 사업이다. 부경대는 CAMPUS-Asia 한·일·중 확장사업 AFIMA사업단(단장 장호근)을 주관으로 이 사업을 운영하며 해양수산경영학전공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해역 수산자원과 해양환경의 공동관리를 위한 국가 간 협력 강화와 미래 전문 인재 양성에 힘써 왔다. 특히 사업단은 한국과 일본, 중국의 참여 대학들과 원활한 소통체계를 확립하고, 온라인 썸머스쿨(국제공동계절학기) 등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학생 교류 등 우수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 사업으로 2021년부터 2026년까지 6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는 부경대는 이번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인센티브로 추가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이에 따라 부경대는 일본의 나가사키대학, 중국의 중국해양대학과 활발한 학술교류를 진행해온 데 이어, 말레이시아 트렝가누대학과도 협력을 확대하기 위해 힘쓸 계획이다. <부경투데이> PKNU obtained the ‘highest grade’ in the Campus Asia Korea-Japan-China expansion business evaluation- the result of the annual evaluation for 2022 is ‘A’ overal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recently announced that it had obtained the highest grade of ‘comprehensive A’ as a result of the annual evaluation of the Campus Asia Korea-Japan-China expansion business in 2022. The project is a representative student exchange project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which promotes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s between universities by activating joint and dual degree program among universities in Korea, Japan, and China.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uns this busines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AFIMA (Asia fisheries and marine environment) leaders program (director Jang Ho-Geun), which is a Korea-Japan-China expansion project for Campus-Asia, and has been striving to strengthen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and foster professional talents for joint management of fishery resources and marine environment in East Asian waters, focusing on the major of the marine and fisheries business and economics. In particular, the project group was recognized for its outstanding achievements, such as establishing a smooth communication system with participating universities from Korea, Japan, and China, and exchanging students using various platforms such as online summer school (joint international program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receiving 600 million won from 2021 to 2026 for this project, will receive additional project expenses as an incen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annual evaluation. Accordingl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carrying out active academic exchanges with Nagasaki university in Japan and the Ocean university of China, and plans to expand cooperation with university Malaysia Terengganu.
부경대, 다독(多讀) 학생들에게 장학금 2천만 원 지급 ‘다독다독’- 65명에게 도서관 마일리지 장학금 수여△ 도서관 마일리지 장학금 수여식 현장.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지난 1월 11일 ‘2022학년도 도서관 마일리지 장학금 수여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부경대 도서관은 이번 장학금 수여식에서 최우수상 1명에게 100만 원을 지급한 것을 비롯해 우수상 2명 각 80만 원, 우량상 5명 각 50만 원, 장려상 57명 각 20~40만 원 등 총 65명에게 2,000만 원의 장학금을 지급했다. 부경대는 도서관(관장 김철수) 주관으로 지난 2016년부터 대학 도서관 이용 활성화와 독서문화 진흥을 위해 해마다 도서관 마일리지 장학사업을 펼치며 우수 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도서관 마일리지 장학사업은 지난 한 해 동안 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읽은 학생은 물론, 도서관이 개최하는 각종 행사 참여 우수 학생을 선정해 장학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단행본과 전자책(e-book) 대출 실적을 비롯해 도서관 이용교육, 문화행사, 설문조사 등 행사 참여 실적, 독서클럽 참여 및 독서감상문 제출 실적 등에 따라 마일리지를 부여하는 방식이다. 김철수 부경대 도서관장은 “학생들이 더욱 많은 독서를 경험하고, 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가장 친숙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마일리지 장학사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경투데이> PKNU provides 20 million won scholarship to encourage students reading extensively- 65 students are given library mileage scholarships On January 11,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announced that it held the ‘library mileage scholarship award ceremony of 2022’. At the scholarship ceremon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gave 1 million won to the first prize winner, 800,000 won each to 2 excellence award winners, 500,000 won each to 5 excellent award winners, and 57 encouragement awardees to 200,000 to 400,000 won each, a total of 65 students were given scholarships worth 20 million won. Since 2016,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operating a library mileage scholarship program every year for the purpose of revitalizing the use of university libraries and promoting a reading cultur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library (director Kim Cheol-Soo) and selecting excellent students and providing scholarships. The library mileage scholarship program is a system that selects students who have read a lot in the library over the past year and provides scholarships to excellent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events held by the library. It is a method in which mileage is granted based on book and e-book rental records, library usage education, cultural events, participation in events such as surveys, participation in book clubs, and submission of reading reviews. Kim Cheol-Soo, director of the library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aid, “We are planning to continue the mileage scholarship program so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more reading and make the library the most familiar space for students.”
부경대생,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활용 논문공모전 ‘우수상’- 박성식 박사과정생△ 박성식 박사과정생.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박성식 박사과정생(해양공학과)이 2022년 해양환경측정망 자료 활용 논문공모전에서 우수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주최, 해양환경공단과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가 공동 주관한 이 공모전은 해양환경 분야 연구자, 전문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해양환경측정망에서 생산된 정보를 활용한 연구 성과를 공모해 지난 12월 29일 시상했다. 공모 주제는 해양환경측정망 생산 정보의 해석·평가·활용방법으로, 해양환경측정망은 해양환경의 오염현황과 환경변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해수부가 시행하는 사업이다. 부경대 박성식 박사과정생은 논문 ‘천리안 위성과 가우시안 과정 회귀를 이용한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식물성 플랑크톤의 대량 증식과 용존산소 농도 변화 모니터링’(지도교수 김경회)으로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상인 우수상을 받았다. 그는 이 논문에서 위성 자료와 기계학습 기반의 가우시안 과정 회귀 모델을 이용한 고해상도의 표·저층 용존산소농도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그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천리안 위성 자료를 이용한 연안 표층 유기물 및 클로로필-a 농도 변화와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연안 표·저층 용존산소농도 변화를 조사하고, 표층 용존산소농도 예측치를 저층 용존산소농도 예측을 위한 예측변수로 재사용해 정확도를 높이는 기법을 제시했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12)조회수 258부경대생, 보호 청소년들 숨은 꿈·끼 찾기 돕는다 - ‘청소년 희망사다리 PKNU지킴이 꿈·끼 개발 프로그램’ 개최△ 부경대생들과 보호 청소년들이 목공 활동을 함께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지역 보호 청소년들을 위해 1월 9일부터 13일까지 알로이시오기지1968(부산 암남동)에서 ‘청소년 희망사다리 PKNU지킴이 꿈·끼 개발 프로그램’을 연다고 밝혔다. 부경대 ‘PKNU지킴이’ 학생 50여 명은 부산·김해 지역 청소년회복센터의 보호 청소년 40여 명과 함께 9일 오후부터 알로이시오기지1968에서 요리, 목공, 원예, 공학, 공예 등 활동을 시작했다. 이번 활동을 펼치는 부경대 ‘PKNU지킴이’는 지역 취약 청소년들에게 자립지원을 비롯해 체육·상담활동 등을 펼치는 사회공헌봉사단 소속 대학생들이다. 부경대생들은 이날부터 보호 청소년들과 조를 이뤄 머핀·비프 베이크 만들기를 비롯해 수공구를 이용한 꿈틀상자·나무곤충 제작, 반려식물과 미니정원 만들기, 레고 모형 자동차 자율주행 코딩 실습, 바느질로 쪽잠베개 만들기 등 활동을 함께한다.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이 보호 청소년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 꿈과 끼를 발견할 수 있는 체험활동과 멘토링 등을 통해 이들의 자립과 사회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부경대생들은 이번 행사에 앞서 지난 2021년과 지난달에도 지역 보호 청소년들을 학교로 초청해 축구, 풋살, 농구, 달리기 등 체육행사와 멘토링을 펼친 바 있다. PKNU지킴이 소속 김대한 학생은 “보호 청소년들이 자기 소질과 재능을 찾고, 앞으로 멋진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데 우리 대학생들이 언니와 오빠, 형과 누나로서 작은 보탬이 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부경대는 (사)만사소년, 알로이시오기지1968 등 지역기관과 지역사회 취약계층 청소년 지원을 위해 상호협력을 맺고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지원활동을 개발해 추진할 계획이다. <부경투데이> △ 부경대생들과 보호 청소년들이 원예 활동을 함께하고 있다. PKNU students helping teenagers in institutional care to find their hidden dreams and talents- held ‘dream and talent developing program, youth hope ladder with PKNU caretak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announced that it runs the ‘dream and talent developing program, youth hope ladder with PKNU caretaker’ at Aloysius basecamp (Amnam-dong, Busan) from January 9 to 13 for local caring teenagers. Around 50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PKNU caretaker’ students started cooking, carpentry, gardening, engineering, and crafts at the Aloysius basecamp from the afternoon, 9th with 40 teenagers in regional youth counselling & welfare institute in Busan and Gimhae.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PKNU caretakers’, who are carrying out this voluntary service, are college students belonging to the Social Contribution Volunteer Corps, which provide self-reliance support, sports, and counseling activities for vulnerable youth in the region. From this da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teamed up with teenagers to make muffins and beef bakes, make wriggling boxes and wooden insects using hand tools, make pet plants and mini gardens, practice coding for self-driving Lego model cars, and make pillows for naps by sewing. This program is designed to help university students develop self-reliant and adapt to society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and mentoring so that they can get close to teenagers in institutional care and discover their dreams and talents. Prior to this ev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vited local youth in institutional care to campus in 2021 and last month to hold sports events and mentoring in soccer, futsal, basketball, and running. “I hope that our university students, as sisters and brothers, will be a small contribution to helping youth in institutional care find their talents and grow into wonderful members of society in the future.” said Kim Dae-Han, one of the students from the PKNU caretak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local organizations such as Mansasoneon corporation and Aloysius basecamp to support the youth of the underprivileged in the community, and plans to develop and promote various support activities in the future.
부경대, 세무사 시험 7명 최종 합격- 경영학부·경제학부△ 왼쪽부터 이준호, 김선민, 심승주, 이동영. 국립부경대학교가 2022년 세무사 시험에서 최종합격자 7명을 배출했다. 부경대는 2022년 제59회 세무사 시험 합격자 명단에 경영학부 이준호(11학번), 김선민(14학번), 심승주(14학번), 표세현(14), 경제학부 이동영(14학번) 등 모두 7명의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제59회 세무사 제2차 시험에는 6,120명이 응시해 최종 708명이 합격하며 11.56%의 합격률을 보였다. 세무사란 조세에 대한 신고와 신청, 청구 등의 대리, 세무조정계산서 기타 세무 관련 서류의 작성과 조세에 관한 상담 또는 자문하는 전문인이다. 부경대 경영학부는 공인회계사와 세무사를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고시원인 석음재(대연캠퍼스·지도교수 이진수)와 박달재(용당캠퍼스·지도교수 조정은)을 운영하고 있다. 고시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경대 경영학부 홈페이지(PKNU 경영인>고시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부경대는 2019년에는 회계사 5명, 세무사 9명, 2020년에는 회계사 7명, 세무사 2명, 2021년에는 회계사 3명, 세무사 8명, 2022년에는 회계사 4명, 세무사 7명 등 해마다 합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06)조회수 906부경대·한양대 공동연구팀, 태양전지·LED 동시 구현 첨단소재 개발- 재료과학 세계 권위 학술지
부경대, 캠퍼스 시설확충사업 ‘활발’- 수상레저관·백경광장 완료 … 학생회관 등 신축 나서△ 수상레저관 수영장 전경.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의 캠퍼스가 끊임없이 새로워지고 있다. 부경대 캠퍼스의 각종 시설확충사업 추진이 최근 두드러지고 있다. 여러 사업이 완료됐거나, 진행 중이거나, 추진 예정이다. 깨끗하고, 편리하고, 멋진 모습으로 몰라보게 달라지고 있는 부경대 캠퍼스의 모습을 하나하나 짚어본다. #새로워졌다 [수상레저관] 지난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공사를 거쳐 체육관 옆 부지에 자리 잡았다. 연면적 7,173㎡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다. 지하 1층에 25m 성인풀 6개와 수상안전교육풀 등 수영장을 갖췄고, 요가, 필라테스 등을 할 수 있는 피트니스센터, 암벽등반 시설 등 각종 바이오헬스 시설과 스마트헬스 분야 연구를 위한 장비와 공간, 그리고 임상실험이 모두 가능한 스포츠 시설로 탄생했다. [백경광장] 길이 200m, 면적 11,460㎡에 이르는 백경광장은 종전 숲과 보행로, 차량 통행로로 이용되던 공간을 보행 전용 광장이자 휴식과 소통, 지역축제를 위한 공간으로 조성됐다. 소나무 숲과 중앙 보행로가 어우러지도록 해 탁 트인 개방감을 제공하고, 광장 중앙 바닥에는 대학 로고를, 보행로 바닥에는 단과대학과 학과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구성했다. 보행로를 비추는 조명은 사계절에 맞춰 테마별로 변하도록 설치해 학생들의 휴식과 야외학습은 물론, 벚꽃축제 등 행사도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했다. #새로워지는 중 [학술정보관] 중앙도서관이 있는 학술정보관은 학생복합문화공간으로 거듭나기 위한 증축공사가 한창이다. 몇 해 전 24시간 열람실 구축 및 독서 휴게공간 확충 등 한 차례 리모델링을 거친 학술정보관은 이번 공사를 통해 올해 중 5개 층에 걸쳐 영상미디어 등을 전시하는 복합문화전시실, 스터디룸, 오픈형 열람공간, 스터디카페, PC실 등을 새로 갖출 예정이다. #새로워진다 [(가칭)제2수산과학관]제2수산과학관이 임대형 민자사업(BTL) 방식으로 들어설 예정이다. 장영실관 남측 주차장 부지에 연면적 17,000㎡ 규모로 분산돼 있는 수과대 학과를 집적화하고, 강의실, 교수연구실, 실험실, 실험기자재 보관 공간 등을 갖춘 건물을 짓는다. 올해 우선협상대상자 지정과 협상 및 실시협약을 체결해 공사에 들어가며, 오는 2025년 완공이 목표다. [학생회관]부경대생들의 공간인 학생회관을 새로 짓는다. 현 학생회관인 위드센터, 나비센터 부지에 연면적 15,000㎡ 규모로 동아리방, 학생식당, 공연장 등 학생활동 공간을 갖춘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BTL 방식으로 추진되며, 올해부터 내년까지 사업고시와 평가, 협상 및 협약을 거쳐 내년부터 2026년까지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공사가 진행되면 기존 공간, 시설 등은 대체 공간으로 이전해 사용하고, 공사가 완료되면 신축건물로 복귀할 계획이다. [첨단분야 실험실습동]부경대학교 정문 옆, 양어장 및 양어장 관리사 부지에 첨단분야 실험실습동 건립을 추진한다. 10,600㎡ 규모로 올해 설계공모를 시작으로 내년 설계를 마치고 공사에 들어가 2026년까지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기존 양어장 시설은 물론, 반도체 등 첨단산업 학과 신설에 따른 연구 공간과 클린룸 등을 배치해 첨단분야 실험실습 공간으로 탄생할 예정이다. [학생지원시설]창의관 북측 주차장 부지에는 정보융합대학 행정실 등을 갖춘 연면적 4,200㎡ 규모 학생지원시설 건물을 짓는다. 올해 7월까지 설계를 진행하고, 오는 2025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인문사회·경영관 증축]인문사회·경영관은 2개 층을 증축해 공간을 추가로 확보한다. 올해부터 내년까지 공사를 통해 2,400㎡의 면적으로 증축하며, 강의실, 실험실, 교수연구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부경대는 올해 건물 신축 및 증축 등 사업을 비롯해 도서관 열람실 개선, 신임교수실 환경개선, 소방시설 보수공사, 냉난방 시설 개선 등 대연캠퍼스와 용당캠퍼스의 각종 시설설비 보수공사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자연재해 예방시설 설치와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구축 등 안전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쏟고, 각 학과(전공) 요청 환경개선 사업도 추진사업에 반영했거나 반영할 예정이다. <부경투데이> PKNU actively expanding its campus facilities- completed construction of the marine leisure center, Baekyong street, started building new facilities such as student union The campu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is getting new every day.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various on-campus facility expansion projects have recently been taking place frequently. Currently, several of these have been completed, are in progress, or are planned to be promoted. Let's take a look at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ampus, which is changing beyond recognition with a clean, convenient, and cool appearance. #UPDATE COMPLETED [The marine leisure center]After construction from 2019 to 2022, this center was located on the site next to the gymnasium. It has a total floor area of 7,173㎡ and has 2 floors below ground and 4 floors above ground. It is equipped with swimming pools, including six 25m distance adult pools and a pool for water safety education on the first basement floor, as well as various bio-health facilities such as a fitness center for yoga and pilates, rock climbing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space for research in the smart health field, and finally it was born as a sports facility where all clinical test are possible. [Baekyong street]Baekyong street, which is 200m distance and has a total area of 11,460㎡, has been newly created as a pedestrian-only street and a space for rest, communication, and local festivals. The pine forest and the central pedestrian path were created to harmonize, providing a sense of openness, and the logo of the university was placed on the floor in the center of the street, and patterns representing colleges and departments were constructed on the floor of the pedestrian path. The lights illuminating the pedestrian path were installed to change by theme according to the four seasons, making it a great space for students to relax and study outdoors, as well as to enjoy events such as the cherry blossom festival. #GETTING NEW [The academic information center]Th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here the library is located, is also under construction to transform it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for students. A few years ago, the academic information center, which underwent remodeling once, including a 24-hour reading room and expansion of a space where student can relax while reading, will be newly equipped with a complex cultural exhibition hall that exhibits visual media, study rooms, open reading spaces, study cafe, and internet cafe across five floors this year. #NEW CONSTRUCTIONS PLANNED [The 2nd building for the college of fisheries science (tentatively named)]The 2nd Fisheries Science Museum is scheduled to enter the campus in the form of a build lease transfer (BTL). Departments of the College of Fisheries Science, which are distributed in a total floor area of 17,000㎡, are integrated in the parking lot on the south side of Jangyeongsil building, and a building equipped with space for storage of lecture rooms, professor offices, laboratories, and experimental equipment is built. After being designated as the preferred bidder this year, negotiations and agreements will be signed to begin construction, with the goal of completion in 2025. [Student center]There is a plan to build a new student center, a space fo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 building with a total floor area of 15,000㎡ will be equipped with student activity spaces such as club rooms, a student cafeteria, and a performance hall, on the site where the current student halls, the With center and the Nabi center. [Training center for high-tech fields]It is planned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a high-tech field laboratory facility on the site of the fish farm and fish farm manager next to the main gate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th a scale of 10,600㎡, starting with the design competition this year, the design will be completed next year and construction will begin until 2026. In addition to the existing fish farm facilities, it is planned to be born as a laboratory and practice space for high-tech fields by arranging research spaces and clean rooms according to the newly established high-tech industry department, including semiconductor. [Student support center]A student support center with a total floor area of 4,200㎡, equipped with facilities such as an administrative office for the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will be built on the northern parking lot of the Changeui building. The design will be carried out by July this year, and the construction is planned to be completed by 2025. [Extension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business administration college]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business administration will expand two floors to secure additional space. Through construction from this year to next year, it will be expanded to an area of 2,400㎡, and lecture rooms, laboratories, and professor research rooms will be added. This yea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ill carry out various facility and equipment repair works on the Daeyeon and Yongdang campuses, including new building construction and extension projects, reading room improvement,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new professor's office, fire safety facility repair work, and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facility improvement. Along with th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also focusing on building safety infrastructure, such as installing natural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nd establishing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requested by each department(major) have been reflected or will be reflected in the project.
부경대, 2023학년도 정시 모집 경쟁률 6.26대 1- 2일 원서접수 마감 … 813명 모집에 5,089명 지원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의 2023학년도 정시 신입생 모집 경쟁률은 6.26대 1로 나타났다. 부경대는 12월 29일부터 1월 2일까지 2023학년도 정시 신입생 모집 원서를 접수한 결과 813명 모집에 5,089명이 지원, 6.26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정시 경쟁률은 5.16대 1(1,124명 모집에 5,797명 지원)로, 이보다 대폭 상승했다. 모집 군별로 가군의 경우 5.48대 1(383명 모집에 2,097명 지원), 나군은 5.86대 1(356명 모집에 2,085명 지원), 다군은 43.63대 1(19명 모집에 829명 지원)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가군에서는 물리학과가 8명 모집에 101명이 지원해 12.63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해양학전공은 8명 모집에 71명이 지원, 8.88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나군에서는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지질과학전공이 7명 모집에 70명이 지원해 10대 1의 경쟁률을 보였고, 중국학과는 4명 모집에 39명이 지원, 경쟁률이 9.75대 1로 나타났다. 다군에서는 과학컴퓨팅학과가 5명 모집에 286명이 지원해 57.2대 1의 가장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부경대 정시모집 실기전형 일정은 오는 12일부터 13일까지이며, 합격자는 2월 3일 부경대 홈페이지에 공고할 예정이다. <부경투데이>
대외협력과 (2023-01-03)조회수 397부경대, 반도체 기업 대표 명예 공과대학장 임명- 신정훈 ㈜비투지 대표이사 … 2024년 반도체 학과 설립·고급 인재 양성 ‘탄력’△ 장영수 총장(오른쪽)이 신정훈 대표이사에게 공과대학 명예학장 임명장을 전달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가 2024년 반도체 학과 신설을 앞두고 반도체 전문기업 대표를 공과대학 명예학장으로 임명했다. 장영수 부경대 총장은 지난 12월 29일 대학본부 3층 총장실에서 반도체 학과 설립과 운영에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며 신정훈 ㈜비투지 대표이사에게 공과대학 명예학장 임명장을 직접 수여했다. 부경대는 오는 2024년 입학정원 40명의 반도체 학과를 신설하고, 현장 맞춤형 전문 인력 배출을 목표로 수준 높은 인력·시설·교육과정 등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부경대는 지난 9월 ㈜비투지와 업무협약을 맺고 파워반도체 제조 공정용 장비를 기증받는 등 전략적 업무제휴에 나선 데 이어, 이번 공과대학 명예학장 임명을 통해 반도체 학과 신설과 인재 양성, 연구개발과제 발굴, 산학프로젝트 수행 등에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다. 부경대 규정에 따르면 인품과 덕망이 높고 대학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거나 할 의지가 있는 자를 해당 단과대학장의 추천을 받아 명예학장으로 위촉할 수 있다. 비상임직인 명예학장은 대학발전, 산학협력 및 취업 등에 관한 사항에 대해 총장, 학장의 자문에 응하는 등 활동을 한다. 한편 부경대는 반도체 학과와 함께 디지털금융, 스마트모빌리티 학과 신설에 나서는 등 첨단 분야 학문 발전의 지역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부경투데이> PKNU appointed the representative of the semiconductor company as an honorary dean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Shin Jeong-Hoon, ceo of Blue ocean to gold accelerates the establishment of the semiconductor department in 2024 and the cultivation of highly qyalified professional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appointed the representative of a semiconductor company as an honorary dean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hea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epartment of semiconductor in 2024. On December 29, in the president's office on the 3rd floor of the administration building, President Jang Young-Soo directly conferred a letter of appointment as an honorary dean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to Shin Jeong-Hoon, ceo of Blue ocean to gold co., ltd., asking him to play an active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emiconductor departmen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lans to establish a semiconductor department with an admission quota of 40 in 2024, and is making efforts to build infrastructure such as high-quality manpower, facilities, and curriculum with the goal of producing field-customized professional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entered into a business agreement with Blue ocean to gold last September and entered strategic business partnerships, such as receiving donations of powe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equipment, as well as establishing a new semiconductor department, nurturing professionals by appointing him as the honorary dean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also it plans to expand cooperation in discovering development tasks and carrying out industry-academia project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 person who is respected, has a high reputation, and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or has the will to do so can be appointed as an honorary dean with the recommendation of the dean of the college concerned. The honorary dean, a temporary position, performs activities such as responding to the advice of the president and dean on issues related to university developmen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care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regional base for academic development in cutting-edge field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igital finance and smart mobility departments along with the semiconductor department.
‘2023년도 부경대학교 시무식’ 열렸다- 3년 만에 대면으로 … 2일 대학본부 대회의실△ 2023년 시무식에서 장영수 총장이 신년사를 하고 있다. ⓒ사진 이성재(대외홍보팀) 부경대학교 장영수 총장은 1월 2일 “부경이라는 굳건한 울타리 속에서 이제 새로운 도전을 위해 망설이지 않고 나아가는 공동체로 거듭나자.”라고 강조했다. 장영수 총장은 이날 오전 대학본부 2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3년 시무식에서 신년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시무식은 장영수 총장과 교무위원, 교직원 등 부경대 구성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3년 만에 대면으로 진행됐다. 장영수 총장은 신년사에서 “지난 한 해는 우리 대학이 혁신과 도약의 큰 발걸음을 성큼 내디딘 뜻깊은 시간이었다.”라고 밝혔다. 장영수 총장은 지난해 성과로 △첨단산업 중심의 융복합 학문 교육·연구체계 구축 △연구 R&D 확대, 산학연 협력과 국제교류 확대 △교육·연구·시설 인프라 대폭 확충 △우수 교수 국제적 연구성과 및 부경대생들 전국 학회, 대회 활약 등을 꼽았다. 이어 장영수 총장은 “새로운 해를 맞이한 지금, 잠시 숨을 고르고 힘을 모아 우리 부경의 밝은 미래를 열어가기 위한 새로운 각오를 다지자.”라며 올해 역점사업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교육·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많은 정책과 제도를 새로 수립하고 정비한 데 이어, 이제는 이런 정책을 구성원 한 명 한 명이 체감할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운영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첨단학과 신설 및 관련 시설 확충을 빈틈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관련기관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지역사회는 물론 수도권 대학들, 세계의 대학들과 협력을 강화하며 지역과 국가,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 명문대학으로서 자리매김하겠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한편 이날 시무식에서는 대학발전공로자상, 모범공무원상, 교육부장관 표창, 올해의 우수직원 및 4분기 우수직원 포상, 보안업체 우수직원 포상 등 시상식도 함께 진행됐다. <부경투데이> △ 시무식 참석자들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시상식 전경.△ 시무식에 앞서 교무위원들이 백경탑을 참배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Kickoff ceremony for 2023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eld- the ceremony held offline for the first time in three years, on January 2nd at the conference room, administration bldg. On January 2,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stressed, “Let’s reborn as a community that does not hesitate to take on new challenges within the strong fence of Pukyong.” President Jang Young-Soo made this announcement in his new year’s address at the 2023 kick-off ceremony held in the conference room on the second floor of the administration building this morning. The kickoff ceremony was held offline for the first time in three years with the participation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members, including President Jang Young-Soo, academic affairs committee members, and faculty members. President Jang Young-Soo said in his New Year’s address, “Last year was a meaningful time that our university took a big step forward in innovation.” President Jang Young-Soo pointed out these as the achievement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last year such as establishment of a convergence academic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centered on high-tech industries, expansion of research and R&D, promotion of industry-academia-institute cooperation and expansion of international exchange, significant expansion of infrastructure for education, research, and facilities, professor’s international research achievements and student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were active in national societies and competitions. Next, President Jang Young-Soo emphasized this year's priority projects, saying, “Now that we have welcomed the new year, let's take a moment to catch our breath, gather our strength, and renew our resolve to open up a bright future for our Pukyung city.” Specifically, he said, “After establishing and reorganizing many policies and systems to strengthen education and research capabilities, I will now focus all my capabilities on operating these policies in a substantial way so that each member can feel them.” He added, “We will establish ourselves as a prestigious university active on the national and global stage by cooperating with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world so that the establishment of high-tech departments and the expansion of related facilities can proceed seamlessly.” At the kickoff ceremony, awards ceremonies were also held, such as university development contributor award, model civil servant award, minister of education commendation, best employee of the year and 4th quarter best employee, and best employee of security company.
‘주경야독’ 부경대생, 제8회 대한민국 공무원상 수상- 중앙해양특수구조단 박대영 경위 … 일·학업 병행 ‘늦깎이’ 대학생△ 미래융합대학 공공안전경찰학과 2학년 박대영 씨. 국립부경대학교(총장 장영수)는 공공안전경찰학과 박대영 씨(44·2학년)가 최근 인사혁신처 주관 제8회 대한민국 공무원상 수상자로 선정돼 옥조근정훈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박 씨는 지난 2021년 부경대에 입학한 ‘늦깎이’ 대학생이자 해양경찰청 소속 중앙해양특수구조단 특수구조팀 구조대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현직 경위다. 그는 국가와 국민에게 헌신·봉사하고 적극적인 업무수행으로 우수한 공적을 세운 공무원으로 인정받아 이번에 대한민국 공무원상 가운데 최고 상인 훈장 수상자로 최종 선정됐다. 해양경찰 공무원으로서는 첫 훈장 수상자다. 박 씨는 2002년 해양경찰관 임용 이후 20년 동안 해양사고 현장에서 국민의 생명을 구하는 베테랑 구조대원으로 활약해왔다. 민·관·군 범국가적 수중 수색구조 협업·협력체계 구축과 파공 선박 유출유 초동단계 원천 회수를 위한 특수 장비 발명 및 특허 출원 등의 공적을 인정받았다. 특히 임용 전 어려운 형편으로 학업을 마치지 못했던 그는 20여 년이 지난 최근 부경대에 평생학습자전형으로 입학해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가운데 이 같은 성과를 거둬 더욱 주목받고 있다. 박대영 씨는 “못다 한 학업도 마무리하고, 학업을 통해 구조대원 활동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다시 학업에 도전하는 중에 상을 받게 돼 큰 격려를 얻게 됐다. 꾸준한 노력을 알아봐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부경대 공공안전경찰학과 함혜현 교수는 “많은 학생이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가운데 특히 박대영 학생은 돋보이는 끈기와 성실함으로 학업에 매진해 주위의 귀감이 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부경투데이> △ 박대영 씨(앞줄 가운데)가 한덕수 국무총리, 수상자들과 함께 기념촬영하고 있다. A PKNU student working during the day and studying at night won the 8th Korean civil service award- Inspector Park Dae-Young from the Korea coast guard special rescue unit … a ‘late bloomer’ student who works and studies at the same tim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Jang Young-Soo) announced that Park Dae-Young (age 44, 2nd-year student) from the public safety and police science was recently selected as the recipient of the 8th Korean civil service award by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received the presentation order of 5th grade. Mr. Park is a 'late bloomer’ student who entere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2021 and is an inspector working as a rescuer of the special rescue team under the Korea coast guard. He was recognized as a public official who dedicated himself to the country and the people and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 active work, and was finally selected as the recipient of the presentation order of 5th grade, the highest award among public official awards in Korea. He is the first official to receive a medal as a member of the Korea coast guard. Park has been active as a veteran rescuer saving people's lives at the scene of a marine accident for 20 years since being appointed as a maritime police official in 2002. He was recognized for his outstanding achievement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cross-national cooperation system for underwater search and rescue by the private, public, and military sectors, the invention of special equipment for the initial stage source recovery of spilled oil from a wrecked ship, and the application for a patent. He was unable to complete his studies due to difficult circumstances prior to his appointment, but recently entere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s a lifelong learner after 20 years, and has achieved such achievements while work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drawing more attention from the public. Park Dae-Young expressed his feeling, saying, “I received a great encouragement when I received an award while challenging my studies again with the thought that I could be more helpful in my lifeguard activities through my studies. Thanks to everyone who recognized my steady efforts.” Professor Ham Hye-Hyun said, “Many students are working and studying at the same time, but Park Dae-Young is becoming an example to the people around him by focusing on his studies with outstanding tenacity and di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