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부경대학교

검색

커뮤니티

 

부경투데이

  • 국립 부경대학교의 다양한 모습과 소식을 접하시면 부경대학교가 한번 더 가까워집니다.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반갑습니다> 미생물학과 전용재 교수
작성자 대외협력과 작성일 2013-09-13
조회수 1654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반갑습니다> 미생물학과 전용재 교수
대외협력과 2013-09-13 1654



신임교수 18명이 부경대학교에 부임했다. 신임교수들의 면면을 e-mail 인터뷰를 통해 소개한다.<편집자주>

□ 졸업 대학과 전공 그리고 경력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에서 생물공학 전공으로 미생물 대사공학을 통한 폐자원으로 신재생 에너지인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균주 및 발효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동 대학에서 박사 후 6년 동안 DNA microarray 기술과 유전체 해독 기술을 이용한 고 효율 에탄올 생산 균주개발 및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그 후 2년 동안 포스코 종합 기술 연구소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에서 책임연구원으로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상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 담당하게 될 강의제목과 그 내용은?
환경미생물학과 산업미생물학을 강의합니다. 강의를 통해 인류문명의 발전에 따른 무분별한 소비문화와 도시 생활로 발생하는 각종 환경적인 문제를 학생들이 미생물학적 관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배양하는 데 주력할 예정입니다. 신바이오 기술 개발을 통한 에너지 문제 및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지식 및 기초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입니다.
  
□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 중 가장 주목받았던 내용은?
신재생 에너지 개발을 위한 바이오 에너지(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라 생각합니다. 현재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최대 핵심은 원천 기술 확보입니다. 특히 수행한 연구 중 폐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을 위한 기술은 기존 상용화 프로세스 대비 우수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회분식 전환 프로세스를 연속식 형태를 전환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정으로 인식되어 미국 ‘Chemical Engineering News’에 하이라이트되었습니다.

□ 앞으로 연구 목표는?
첫째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 개발을 위한 신바이오 기술 개발이며, 둘째 해양자원을 이용한 신항생제 생산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싶습니다.
  
□ 전공 분야의 발전 방향과 미래에 대해 전망해 본다면?
생명현상의 이해와 DNA 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혁신적인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바이오 신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한 신성장 사업들이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구현되고 있습니다. 이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사회 및 국내 기업들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 전망합니다.

□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책 소개
프랑수아 를로르의 <꾸뻬씨의 행복여행>입니다. 모든 사람들의 인생 목표가 ‘어떻게 행복해질 것인가?’라고 생각하는데, 나름 충분한 답이 되었던 책인 것 같습니다.  

□ 가장 인상 깊었던 여행지와 그 이유는?
시드니에서 학위과정을 하였는데, 도시와 자연이 아주 친환경적으로 잘 어우러져 있어 자연과 인간이 어떻게 잘 조화될 수 있는 지를 구현한 훌륭한 표본이 된 여행지였던 것 같습니다.

□ 인생의 좌우명은?
호시우행(虎視牛行). 호랑이(虎)처럼 보고(視) 소(牛)처럼 행동(行)하라.

□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조언해주고 싶은 말?
아무리 힘든 일도 끊임없는 노력과 끈기 있는 인내로 매진하다 보면 성공은 자연스럽게 여러분과 함께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젊음의 도전의식과 갖은 좌절에도 포기하지 않고 꿈을 이루겠다는 목표의식으로 끝까지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부경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