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바로 별이라고? | |||
작성자 | 대외협력과 | 작성일 | 2018-05-17 |
조회수 | 512 |
내가 바로 별이라고? | |||||
![]() |
대외협력과 | ![]() |
2018-05-17 | ![]() |
512 |
화제의 책 ‘시를 잊은 그대에게’의 저자 정재찬 한양대 교수(국어교육과)가 지난 10일 부경대학교 미래관 2층 소민홀에서 열린 부경CEO행복인문학콘서트에서 강연했다. “의술, 법률, 사업, 기술. ‘시, 아름다움, 낭만, 사랑, 이런 것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이라니!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이런 일들은 누구나 잘 할 수 있는 일이니까. 그는 이날 그렇게 ‘삶의 목적’을 우리에게 환기시킨 뒤 ‘별’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래, 캄캄한 밤하늘에 빛나는 별을 눈으로 본 적이 언제였던가? 별은 어두워야만 볼 수 있다. 그는 “최근 5년 사이 부모님이 돌아가셨는데, ‘사람은 죽는다’는 사실을 체험적으로 알았다.”면서, “아픔 통해 깨달은 것, 그것은 부모가 목숨 걸고 가르쳐 주신 것이다. 빛나는 진실을 가르쳐 주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므로 그는 “아픔이 꼭 나쁘지만은 않은 거 같다. 아픔의 길에서 나의 별 하나를 찾아가는 것이 인생 아닐까.”고 말했다. 이 새벽에 강의 들으러 온 CEO들에게 하필 ‘별’ 이야기일까? 정 교수는 ‘영혼 속에서 타오르는 불꽃은 별들이 발하고 있는 빛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는 루카치의 말을 인용하면서, “저 별과 너의 영혼은 현상은 동일하지 않을지라도 본질은 동일하다.”고 말했다. 그는 “하늘의 별이 바로 나다. 늘 나는 신과 함께, 우주와 함께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렇게 많은 별들 중에서 밤이 깊을수록 이렇게 정다운 - 김광섭 ‘저녁에’ 이 시는 가수 유심초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라는 노랫말로 대중에게 잘 알려진 시다. 그는 “그것도 억겁의 시간 가운데 지금 이 순간, 어쩌면 이미 오래 전 티끌로 사라져버렸을지도 모를 그 별과 지금 이 순간 내가 만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걸음 더 들어가 보자. 시 ‘저녁에’에서처럼 별과 사람이 일대일로 만난다는 의미는 무얼까? 정 교수는 “인간도 별 만큼 드문 존재이다”라고 말해주었다. ‘나는 별만큼 드문 존재다!’ 문득 나의 존재를 생각하게 하고, 그동안 인식하지 못했던 자존감을 뚜렷하게 느끼게 하는 말이다. 그는 “내가 존재할 확률은 매우 희귀하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야 3억분의 1의 확률이다. 또 아버지 어머니가 만날 확률은 더 희귀하다. 그렇게 확장해 생각해보면 내가 존재할 확률은 거의 0에 가깝다. 그러니 지금 나는 기적적으로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니 너도 저 별처럼 귀하다, 이 얼마나 기적 같은 일인가?’ 정 교수는 “내가 만나는 사람들, 가까이 있는 사람과의 우주적인 인연을 생각해보자.”면서, “누군가를 만나기 위해 어마어마한 인연이 있어야한다. ‘흙 수저’ 같은 존재라고 할지라도 이 우주에 나 하나밖에 없다. 우주적 존재라는 자존감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런 내 속에는 나에게 알맞은 빛깔과 향기가 있다. 나의 이름은 부모님들이 쓴 시다.”고 덧붙였다. 정 교수는 “그런데 혼자 빛나는 별은 없다. 별은 빛을 받아 반사되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만인의 스타가 될 수 없지만 부모의 자식의 친구의 연인의 스타는 될 수 있다. 가까이에서 서로를 비춰주는 그런 존재, 우린 그것 하나를 갖고 싶은 것이다. 인정(人情) 어린 이들의 인정(認定)을 얻는 것이야말로 참 행복이 아니겠는가?”하고 말했다. <부경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