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연구 중 | 해양생물학과 김진우 | |||
작성자 | 대외협력과 | 작성일 | 2018-07-19 |
조회수 | 497 | ||
첨부파일 |
지금 연구 중 | 해양생물학과 김진우 | |||||
![]() |
대외협력과 | ![]() |
2018-07-19 | ![]() |
497 |
체장(몸의 길이) 자료를 활용해 바다 속 물고기의 개체 수, 무게 등을 연령별로 추정하는 수산자원 평가 방안이 제시돼 주목받고 있다.
김 씨는 이 논문에서 연령자료 대신 체장 자료를 연령구조모델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수산자원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구체적인 수산자원 평가가 가능한 연령구조모델은 모델에 적용할 연령자료를 얻기 위해 물고기를 직접 잡아 연령을 측정해야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김 씨는 우리나라 고등어를 대상으로 한 자원평가에서 체장빈도분석법(LFA)을 이용, 국립수산과학원의 연도별 고등어 체장 빈도분석 자료를 연령구조모델에 적용해 고등어 자원을 연령별로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논문에서 그의 모델은 자원평가 결과로 우리나라 고등어의 각 연령별(1년~5년) 개체 수와 무게, 성장률, 사망률 등의 추정 값을 제시하고 있다. 김 씨는 “수산자원의 연령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연령 자료를 체장 자료로 대체해 연령구조모델에 적용한 이번 연구가 수산자원 평가 분야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부경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