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부경대학교

검색

커뮤니티

 

부경투데이

  • 국립 부경대학교의 다양한 모습과 소식을 접하시면 부경대학교가 한번 더 가까워집니다.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미국에서 온 동문 편지(Alumni's letters from the US)
작성자 대외협력과 작성일 2018-09-07
조회수 1056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미국에서 온 동문 편지(Alumni's letters from the US)
대외협력과 2018-09-07 1056


  
미국에 사는 부경대학교 최순금 동문(50세·ido6249138@gmail.com)이 후배들에게 전하는 편지를 최근 학교 홍보팀으로 보내왔다.

부경대 영어영문학과를 1997년에 졸업한 그는 10년 전 도미해 현재  Utah주에 살고 있다고 했다.

그는 “(취업난으로) 한국 대학생들이 힘들어한다는 뉴스를 접하고 마음이 아팠다.”면서, “저의 경험을 후배들과 나누고 싶다.”고 편지를 보낸 배경을 밝혔다.

다음은 편지 전문이다.

 

사랑하는 부경대 후배님들께.
보잘 것 없는 제가 이렇게 좋은 소식을 보내게 되어서 감사합니다.
지금 저는 GDIT (General Dynamic Information Technology) 란 큰 회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하는 일은 U.S Census 인데, 미국의 인구조사를 도맡아 하고 있습니다.
미국정부의 일이라서 이정도 밖에 설명을 못 드립니다.
이 일을 하면서 제일 큰 보람은 한국인이란 사실 입니다. 사실 한국에서 40년 동안 살면서, 저는 한국어에 대한 경외심이 없었습니다. 왜냐면, 누구나 한국어를 하니까요.
그런데 여기에서 일하고부터 한국어가 이렇게 고마운 언어인지 새삼 느꼈습니다. 

Bilingual CSR이란 직책으로 한국어 때문에 많은 월급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 일하는 동료들은 모두 세계각지에서 온 사람들 입니다.(한국, 중국, 베트남, 아랍인, 이라크, 러시아, 필리핀…) 모두 Bilingual speaker들 이지요.
저는 이 일을 통해, 한국어에 자부심을 느꼈으면 우리 동문 후배들이 정확한 한국어를 공부해서, 미국에서 이런 Bilingual position을 더 많이 잡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한국어와 영어를 꾸준히 준비한다면, 이런 직장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미국에는 bilingual들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제가 미국에온 계기는 이렇습니다.
저는 딸이 둘이 있습니다. 첫째는 건강하고, 똑똑한 아기였지요. 지금은 잘 성장해서 미국에서도 명문으로 손꼽히는 학교에서 의학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미국 학생들은 한국 학생들 보다 못합니다, 여러 가지 면에서요. 그래서 우리 후배들이 한국인이란 자신감을 가지고, 미국 무대에 진출했으면 합니다.
나의 둘째 딸, 박지수 Techla, 이 아이가 저의 인생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저는 큰딸이 별 탈 없었기에, 둘째딸도 그러려니 했습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 조금 이상한 시기가 있었습니다. 

한때는 피부병이 온 몸에 퍼져서 앉을 수 조차 없었습니다. 그리고 10개월을 버틴 아기는 무사히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하루, 이틀 아이가 쳐지기 시작 하더니, 큰 병원 가서 정밀조사를 받으란 의사의 지시가 있었습니다. 우리 부부는 몇몇 병원을 거쳐서 그 아이의 문제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 아이는 두 가지 큰 문제가 있었어요. 심장병과 brain damage란 병명을 받고 정말 앞이 깜깜 했지요. 하나도 치료하기 힘든데, 어떻게 둘 다를 치료할 수 있겠어요. 그리고 brain damage는 치료조차 어려운 병이고, 거의 모든 것이 불가능이었지요.

그때 우리 부경대 영문과의 손달례 영문학 교수님의 평소 하시던 얘기가 떠올랐어요. 좁은 한국에서 부딪히지 말고, 넓은 미국으로 가라고. 교수님은 수업 중에 늘 우리를 이렇게 깨우쳐 주셨어요. 그리고 전, 미국의 장애교육에 대해 공부를 했어요. 다행한 건 미국의 정부정책은 장애인들에게 뭇 관대했으며, 또한 장애인구가 한국보다 엄청 많았으므로 장애인들은 특별하게 다루어지지도 않았고, 시회의 냉정한 대립보다는 정상인들과 자유롭게 공부하고, 어울려 사는 모습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저는 확신했어요. 이 아이를 위해, 한국보다 미국이 낫다는 것을… 저는 어떻게 갈수 있는지 연구를 했습니다. 

저에게 맞는 Visa는 학생visa였어요. 그것도 언어연수 visa. 이것은 쉽게 발급할 수가 있었어요. 2008년 Obama 정부가 시작될 쯤, 저는 두 딸을 데리고 미국 Utah주에 정착했습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제일 힘든 것은 경제적 고통이었어요. 남편은 모든 것이 두렵다면서 여러 가지 이유로 오지 못했습니다. 갑자기 저는 Single Mom에, 가난한 유학생이 되어버렸습니다. 그것도 아픈 딸을 둔 불쌍한 한국 아줌마 말입니다.

지금, 돌아보면 지난 10년 어떻게 보냈는지 까마득합니다. 지금도 그렇게 부자는 아니지만, 그때보다는 훨씬 나아졌어요. 한 달에 $200.00 로 생활을 해야 했지만 또 아끼고 아꼈어요. 저는 신분유지를 위해 학교를 가고, 우리 큰딸과 작은 딸은 집에서 놀면서 저를 기다리는 시간이 많았어요. 한번은 우리 큰딸이 그러더군요. “엄마, 내가 10살 때 와서 다행인줄 알아, 우리 둘이서만 있는 시간들이 얼마나 길고 외로웠는지 알아”.

우리가 올 때, 큰딸은 10살, 작은딸은 8살. 모두들 좋은 나이에 왔다고들 하더라고요. 다행히 우리 딸들은 학교에 잘 적응해 주었어요. 미국선생님들도 한국 학생들의 DNA는 특별한 것 같다면서, 우리 애들을 칭찬해 주었어요. 난 우리 후배들이 미국 무대에 오면 이 늙은 아줌마 보다 훨씬 잘 하리라 믿어요. 그렇게 어학연수를 끝내고, 정식 학교에서 Accounting을 공부 했으며 Degree를 받고 취업을 했습니다.
저는 부경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다시 대학공부를 했습니다. 박사 학위는 없지만, 저의 인생 대부분은 배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어릴 적 두 부모를 여의고 힘들게 9번 원서를 넣은 뒤 저는 부경대 98학번을 달수 있었고, 낮에는 강의실 가고, 밤에는 학원강사를 하며, 저는 어렵게, 또한 낮은 성적으로 무사히 졸업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에서의 대학 생활은 힘들긴 마찬가지였습니다.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저는 매일 우리 딸들을 데리고, 무료급식소 에 가야만 했지만 부끄럽지 않았습니다. 그곳에서, 가난하지만, 마음이 따뜻한 많은 미국인 homeless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우리 딸에게 말했지요. 봐 이 사람들은 미국시민권을 가진 미국 사람인데도, homeless가 되어서 이곳에서 식사해결을 한다고, 왜인지 알아? 신분보다 더 중요한건 그 사람이 가진 실력이고, 능력이야. 넌 커서, 다신 이곳에 오지 말고 이 사람들을 도울 수 있고, 이곳에 기부할 수 있는 사람이 되라고… 저는 가르쳤습니다.

세월은 흘러, 우리 애들은 성장을 했습니다. 큰딸은 Medical student 대학생이 되었고, Down Syndrome인 우리 둘째딸은 고교 졸업반이 되었습니다.
사실 모든 것이 이루어진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저는 회사에 가면, 영어를 잘 못 알아들어서 실수를 하면서 매일 매일 새로운 도전에 직면 하지만 괜찮습니다.

그것 아세요? 영어 실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날그날 버티는 나의 열정과 집념이란 걸요. 저는 지금 6개월째 일하는데, 아직 해고되지 않았고, 열심히 일하는 한국인이란 소리를 미국 Supervisor에게 들으며, 이젠 조금은 능숙하게 일하고 있습니다.
처음 일할 때, 미국인 customer들과 대화를 하면, 저는 먼저 두려웠습니다. 내가 못 알아들으면 어쩌나, 또 내가 모르는 이상한 소리를 하면 어쩌나, 저는 빨리 일을 끝내려고 했습니다. 잘 듣지도 않고, 그래서 더 많은 실수를 했어요.
어느 순간 깨달았어요. 못 알아들으면, 천천히 해달라고 부탁하고, 내가 누구인지 밝히고 외국인이기에 천천히 말해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리고 조금씩 나아졌습니다. 이젠, 그런 두려움은 없습니다.

저는 우리 후배들이 정말 똑똑하다고 믿습니다.
우리 학교는 부산의 명문 아닙니까. 똑똑한 머리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오히려 겸손하게 머리를 조아리고, 하나하나 문제를 해결해가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렇게 하루하루를 꾸준히 살면, 우리의 인생 한번 도전해 볼만해요. 

비록, 순간의 고통과 힘듦으로 실망하겠지만, 그것 역시 우리가 매일 성장 하고 있다는 증거 입니다.
저의 두서없는 편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우리 학교를 사랑합니다.
비록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저는 이곳에서 미래를 보았습니다.

요즘, 한국에서 들려오는 우울한 소식에 펜을 들었습니다.
‘청년 실업’, 얼마나 무서운 소리인지, 한참 인생을 시작해야 할 시점에 그것은 펼 무대가 없다는 건 절망이란 걸 압니다.
세계로 뻗어 나오십시오. 세계 사람들 우리나라 사람들 보다 못한 사람 많습니다. 두려워 말고, 알을 깨고 나오십시오. Job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여러분의 자녀 또한 여러분들로 인해, global 자녀로 성장할 수 있을 겁니다.

Regards, Soon Keum Choi.


“Come out to the world. Do not be afraid, come out breaking eggs.”
Studying in the U.S.A. according to the professor's instruction, the 'challenge and passion' of alumni Choi Soon-keum's settlement period.
  

Pukyong National University's alumni, Choi keum-soon (50years old, ido6249138@gmail.com), who lives in the U.S.A., has recently sent a letter to school's public relations team.

She graduated from the Division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1997 and said she has been living in Utah currently for 10 years.

She said, "I was hurt by the news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ies (because of the job hunting)." she said, "I want to share my experience with my juniors."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her letter.

 

To my beloved PKNU juniors.

Thank you so much for having opportunity to send this good news to you.
Now I work for a big company called General Dynamic Information Technology (GDIT).

What we do here is U.S. Censu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US census.

It is the work of the US government, and I only can explain this much.

The biggest reward for me is the fact that I am a Korean. Actually for 40 years in Korea, I did not have a feeling of awe for the fact that I am Korean. Because everybody speaks Korean.

However, since I have been working here, I felt that Korean is such a thankful language.

As a bilingual CSR, I am receiving a lot of salary because of Korean Language. All my colleagues here are from all over the world (Korea, China, Vietnam, Arabs, Iraq, Russia, Philippines ...) all are bilingual speakers.
.
I hope that if we feel proud of our Korean language through this work, our alumni and juniors will study accurate Korean language and get more bilingual positions in the US. If you are constantly preparing for Korean and English, there are many such jobs. There are not so many bilinguals in the United States.

The motivation that brings me to America is this reason.

I have two daughters. The first was a healthy, intelligent baby. She is now studying medicine at a prestigious school in America. Most American students are not smarter than Korean students in many ways from my perspective. So I hope that our younger students will have confidence in the fact you are Korean and advance to the American stage.

My second daughter, Park Ji-soo Techla, this kid has changed my life. I thought my older daughter grew without problems, so my second daughter would do so. But there was a little weird moment during my pregnancy.

One day, skin diseases spread throughout my body and could not even sit down. And the baby who stood for 10 months was born safely. However, after a day or two, the baby seems to feel powerless, and there was a doctor's order to go to a big hospital and receive a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We went through several hospitals and got to know the problem of the baby. The baby had two big problems. She had a heart attack and brain damage, and it was totally hopeless. Even one can hardly cure, but how can I cure both. And brain damage is a difficult disease to treat, and almost everything was impossible.

At that time, I came up with an idea that English literature professor, Son Dal-rye used to tell me. Do not struggle in this narrow Korea, go to wide America. The professor always reminded us like this during class. And I studied about disability education in America. Fortunately,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United States was very generou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isabled population was much larger than Korea, so the disabled people were not treated specially, and that were able to study freely with normal people rather than the cold and apathetic confrontation of society. I was convinced. For this kid, I think America is better than Korea ... I studied how I could go there.

The proper visa for me was a student visa. It is also a language training visa. Getting approved for a visa was an easy task. By the time the Obama government began in 2008, I settled in Utah with my two daughters. When I was in school, the hardest thing was the financial distress. My husband was afraid of everything and could not come for a variety of reasons. Suddenly, I became a poor international student and single Mom, a poor Korean woman with a sick daughter.

Now, looking back, I wonder how I spent the last ten years. It's not that rich now, but it's much better than that. I am not that rich now, but it is much better than before. I lived with $ 200.00 living expenses per month and saved my money again and again. I went to school to maintain my student position, and my eldest daughter and little daughter had a lot of time waiting for me playing at home. One day my eldest daughter said. "Mom, I'm glad I came here when I was 10 years old, you never know how long and lonely times me and my sister spent together."

When we made decision to come here, our eldest daughter was 10 and our little daughter was 8 years old. Everyone was told that my children are at a good age to come. Fortunately, my daughters adapted well to school. The US teachers also praised our children, saying that the DNA of Korean students is something special. I believe our school juniors will do better than this old lady when you come to the US stage. After finishing my language training, I studied Accounting at a formal school and got a degree and got a job.

I graduated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studied college in the US again. I do not have a doctorate degree, but most of my life was a series of learning.

After my parents died in my childhood, I was able to enroll i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in 1998 after 9 times applications. I went to the classroom during the day and worked as a lecturer at night, and I barely managed to graduate with low grades.

The College life in America was hard either. To save my living expenses, I had to go to a free lunch area with my daughters every day, but I was not ashamed. There, I was able to meet many poor, homeless people. I told my daughter. Look, these people are Americans with citizenship, but they're homeless, and now they know where to have meals, do you know why? More important than identity is the ability what you got, a real ability. When you become an adult, help these poor people with not coming here again, and donate for them.. I advised to my little kids.

Time has passed and our children have grown. My older daughter became a medical college student and my second daughter, Down Syndrome, became a senior in a high school.

In fact, nothing is done. Still, whenever I go to my workplace, I face a new challenge every day, making mistakes by misunderstanding English, but it is okay.

Do you know that? What is more important than my English language ability is my enthusiasm and endurance that day. I have been working for six months now, listening to the American Supervisor that I am who has not been dismissed and a har- working Korean.

When I first started working with American customers, I was afraid first. What if I do not catch what my customers say, or what if they tell me a strange word I do not know, so I tried to finish my work quickly. I did not listen well, so I made more mistakes.

I realized at some point. If I do not understand what customers say, I ask them to slow down and tell them I am not a native and asked them to speak slowly. It got a little better and better. Now, there is no such fear.

I believe my school juniors are smart.

As well known, PKNU is a famous school in Busan. However, smart brain is not enough.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attitude that moderately and solves problems one by one. If you live like this every day, I guess your life is worth a try.

Though we will be still disappointed with momentary pain and hardships, it is also an evidence that we become more mature everyday.

Thank you for reading my no theme, random letter.

I love my school.

Although I was not good at grades, I saw the future here.

Gloomy news hearing from Korea currently, I had to grab my pen.

'Youth Unemployment', how horrible it is, and at the point when you have to start your life for a long time, I know that it would be despairing feeling that there is no stage at the time.

Get out into the world. There are lots of people who are not better than you. Do not be afraid, come out breaking eggs. You can get your job.

Also, your children will have chance to grow into global children because of you.
Regards, Soon Keum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