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부경대학교

검색

커뮤니티

 

부경투데이

  • 국립 부경대학교의 다양한 모습과 소식을 접하시면 부경대학교가 한번 더 가까워집니다.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그는 왜 그렇게 매를 사랑했을까?
작성자 대외협력과 작성일 2018-12-13
조회수 454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그는 왜 그렇게 매를 사랑했을까?
대외협력과 2018-12-13 454



△ 박화진 교수의 글이 게재된 국제신문 지면.

부경대학교 사학과‧국제신문 공동기획 <해양문화의 명장면> 43회는 매(鷹)가 주인공이었다.

그것도 조선의 매였다.

12일 국제신문 20면에 실린 이 글의 필자인 박화진 교수(사학과)는 글 모두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쓰의 각별했던 매 사랑을 소개하면서 글을 시작했다.

그는 “임진왜란 이후 일본 천하의 패권을 장악한 에도막부 제1대 쇼군(將軍) 도쿠가와 이에야쓰(德川家康, 1542-1616)는 더할 나위 없이 매사냥을 좋아하였던 것 같다.”면서, “그의 생애 1000회가 넘는 매사냥을 하였다.”고 소개했다.

이런 도쿠가와 이에야쓰의 각별한 매 사냥 사랑에 대해 박 교수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교외로 나가 백성의 정세를 시찰하는 한편, 신체 단련, 군사훈련, 가신단의 영내 지배 실태 조사 등을 겸하며, 지방 지배를 위한 거점 만들기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도쿠가와 이에야쓰는) 교토 귀족 및 다이묘(大名)를 비롯한 영주들의 매사냥을 금지하고, 나아가 매사냥에 쓰일 매의 일반 매매를 일절 금지했다. 매사냥을 일부 한정된 사람에게만 허락하는 등 매는 쇼군 가문 도쿠가와 씨의 독점이 되고, 이른바 쇼군 권위의 상징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런데 이 때 쓰인 매가 조선의 매였다고 한다.

박 교수는 “조선 매는 매우 높이 평가받았던 것 같다.”면서, ‘관백 미나모토 이에야쓰가 조선의 매와 말을 요청함이 심히 간절하였다’는 조선의 외교서 기록을 소개했다.

조선의 매가 일본으로 간 통로는 조선통신사였다는 점이 바로 ‘해양문화의 명장면’이다.

박 교수는 조선 후기 12차례의 조선통신사를 통해 에도막부 쇼군에게 보낸 조선 매의 숫자를 400여 마리라고 했다. 기록에 따르면, 매번 최소 10마리에서 최대 55마리를 보냈다고 한다.
    
박 교수는 “조선통신사와 함께 일본에 도착한 조선 매는 쓰시마에서 일단 오사카로 운반돼 그곳에서 막부 전속 매부리(鷹匠,응장)에게 양도되어 막부 관리 아래 들어갔다.”고 했다.

그는 “에도막부가 조선 매를 하사할 때는 매우 엄격한 기준에 따라 막부 주요 각료, 특히 가문의 격(家格)이 매우 높은 몇몇 다이묘에 한정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가문의 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매를 하사할 수 없는 다이묘 및 측근에게 간혹 매를 그린 그림을 하사하여 그 신임의 뜻을 표현하였다.”고 당시 일본에서의 조선 매의 인기를 소개했다.

박 교수는 “조선의 매는 중국에서도 해동청이라 불리며 높은 인기를 누렸던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조선의 매는 세계에 자랑할 우수한 우리 문화유산.”이라고 강조했다.<부경투데이>

▷ 기사 전문 보기 “클릭!!”

 ▷ 다른 <해양문화의 명장면> 시리즈 보러 가기

<42> 조세현 교수 편 - ‘포탄이 미치는 곳까지가 영해다’
<41> 신명호 교수 편 - 왜 향나무를 개펄에 묻었을까?
<40> 김문기 교수 편 - 네덜란드 고래는 어떻게 조선 앞바다까지 왔을까?
<39> 박원용 교수 편 - 달콤한 설탕의 쓰디쓴 사연에 대하여
<38> 이근우 교수 편 - 왜 죽음을 무릅쓰고 조문사절을 파견했을까?   
<37> 박화진 교수 편 - 처음 홋카이도를 가본 조선사람은? 
<36> 조세현 교수 편 - 그 여행기록이 보배였다
<35> 신명호 교수 편 - 이 나무를 자르면 곤장 60대였다!
<34> 김문기 교수 편 - 그림 ‘델프트 풍경’이 말해주는 것들
<33> 박원용 교수 편 - 이 와인에 이런 특별한 사연이?
<32> 이근우 교수 편 - 그때 일본지도에 더 관심을 가졌더라면!
<31> 박화진 교수 편 - 초량왜관 관수일기를 펼쳐보니
<30> 조세현 교수 편 - 증기선 등장의 의미는?
<29> 신명호 교수 편 - 이순신장검을 감싼 것은 무엇일까?
<28> 김문기 교수 편 - 청어가 임진왜란을 알렸다고?
<27> 박원용 교수 편 - 모든 인간은 멋진 존재다!
<26> 이근우 교수 편 - 유구국은 어디일까요?
<25> 박화진 교수 편 - 성 스캔들로 효수형을 당하다
<24> 조세현 교수 편 - 화교들의 부산 정착기는?
<23> 신명호 교수 편 - 이 특별한 국 한 그릇에 대하여
<22> 김문기 교수 편 - 조선시대 민초들의 단백질 공급원은?
<21> 박원용 교수 편 - 포르투갈이 인도양을 점령한 사연은?
<20> 이근우 교수 편 - 일본보다 먼저 일본지도 인쇄했다
<19> 박화진 교수 편 - 초량외관은 어떤 곳이었나?
<18> 조세현 교수 편 - 영웅인가? 해적인가?
<17> 신명호 교수 편 - ‘북한으로 가는 바닷길’이란 말
<16> 김문기 교수 편 - 오징어가 불러온 훈풍
<15> 박원용 교수 편 - 해상강국이었기에
<14> 이근우 교수 편 - 기묘한 지도 한 장의 힘
<13> 박화진 교수 편 - 전근대 일본사회 ‘한류’는
<12> 조세현 교수 편 - 처음 대양을 건넌 이가 본 것들
<11> 신명호 교수 편 - 신명호 교수의 질문은?
<10> 김문기 교수 편 - 김문기 교수의 질문은?
<9> 박원용 교수 편 - 비운의 해적, ’키드’의 생애를 보았더니
<8> 이근우 교수 편 - 그래서 대마도 정벌에 나섰다
<7> 박화진 교수 편 - 박화진 교수의 질문은?
<6> 조세현 교수 편 - 조세현 교수의 질문은?
<5> 신명호 교수 편 - 신명호 교수의 질문은?
<4> 김문기 교수 편 - 김문기 교수의 질문은?
<3> 박원용 교수 편 - 박원용 교수가 본 ’해양문화의 명장면’
<2> 이근우 교수 편 - 사학과 이근우 교수의 질문
<1> 프롤로그 - 국제신문이 본 부경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