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 부경대학교

검색

커뮤니티

 

부경투데이

  • 국립 부경대학교의 다양한 모습과 소식을 접하시면 부경대학교가 한번 더 가까워집니다.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화학계가 주목한 연구는? (An up and coming research in chemical field)
작성자 대외협력과 작성일 2018-10-08
조회수 1376
작성자,작성일,첨부파일,조회수로 작성된 표
화학계가 주목한 연구는? (An up and coming research in chemical field)
대외협력과 2018-10-08 1376

부경대학교 이송이 교수(화학과)가 ‘자가-희생기(self-immolative)’를 가진 형광 및 발광 화학센서의 연구전망을 제시한 논문으로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부경대는 이 교수의 논문 ‘Self-immolative colorimetric, fluorescent and chemiluminescent chemosensors’가 지난 9월 영국 왕립화학회지 ‘Chemical Society Reviews’(IF=40.182)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이 교수가 주저자로 참여한 이 논문은 최근 화학 분야의 유망한 연구주제인 ‘자가-희생기’의 최근 연구 성과들을 소개하고, 주요 활용방안을 제시해 관심을 받았다.

‘자가-희생기’는 로다민, 쿠마린과 같은 형광 및 발광 화학센서 분자와 결합해 있다가 센서가 특정 이온과 만나는 순간 떨어져 나오는 방식으로 센서의 안정성과 반응성 등을 높여주는 분자다.

이 교수는 이 논문에서 ‘자가-희생기’를 기능별로 5가지 범주로 나누어 소개했다. 항암치료와 효소활성화 등 바이오이미징(bioimaging) 기능을 비롯, 플로레센트(fluorescent‧형광), 루미네센스(luminescence‧발광) 등 검출 기능, 신호증폭 기능 등이다.

이와 함께 ‘자가-희생기’와 연계되는 49개에 이르는 형광체의 특성을 밝히는 등 ‘자가-희생기’를 갖는 새로운 형광 및 발광 화학센서 설계전략과 다양한 반응 구조를 제시했다.

이 교수는 논문에서 “형광 및 발광 화학센서가 ‘자가-희생기’를 가지고 있으면 목표로 하는 물질과 만날 때까지 미리 반응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면서, “이 센서를 항암치료에 적용하면 약물이 암세포에만 반응하도록 해 부작용을 없애고 치료효과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자가-희생기’를 가진 형광 및 발광 화학센서는 단분자는 물론 반응성이 높은 고분자로도 합성할 수 있다.”면서, “고분자 화합물인 플라스틱을 만들 때도 이 센서를 적용할 수 있고,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때 ‘자가-희생기’만 화학적으로 분리하면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환경과학 분야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경투데이>


The research by Prof. Lee Song-yi of PKNU draws attention of 'Chemical Society Reviews', th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Research on fluorescence · luminescence chemical sensors with 'self-immolative' ...published on the cover of the September journal

Professor Lee Song-yi (Dept. of Chemistry) from Pukyong National University, has been receiving attention from academia as her thesis that presented a research prospect for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 chemical sensors with a 'self-immolativ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nounced on the 8th that Professor Lee's paper, 'Self-immolative colorimetric, fluorescent and chemiluminescent chemosensors' was published as a cover paper in September for the Royal Society of Chemical (RSC)'s 'Chemical Society Reviews' (IF = 40.182).

This paper, in which Professor Lee participated as the lead author, introduces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the promising research topic in the field of chemistry, 'Self-immolative,' and suggests major utilization methods.

'Self-immolative' is a molecule that combines with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 chemical sensor molecules such as rhodamine and coumarin, and increases the stability and reactivity of the sensor in such a way that the sensor comes off at the moment it meets a specific ion.

In this paper, Professor Lee introduced 'Self-immolative' into five categories by function. It includes bioimaging functions such as chemotherapy and enzyme activation, and detects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 signal amplification functions, and so on.

In addition, a new strategy for designing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 chemical sensors with 'Self-immolative' and various reaction structures were propos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up to 49 fluorescent substances linked to the 'Self-immorative'.

Professor Lee said in a thesis, "If the chemical sensors, fluorescent and luminescent have a 'self-immorative', they do not react in advance and remain stable until they meet the target substance." and she added, "If this sensor is applied to anti-cancer treatment, side effects can be eliminated but the therapeutic effect can be enhanced while allowing the drug to respond only to cancer cells."

“The fluorescent and luminescent chemical sensors with 'Self-immorative' can be synthesized not only from single molecules but also from highly reactive polymers," she said. "When recycling plastics, only the ''Self-immorative' is chemically separated, so it is easily decomposed, and it can be useful in environmental science." <Pukyong Today>